웹 호스팅이란?
웹 호스팅이란 무엇일까요?
설명하기 전에, 웹 서버의 역할을 하는 컴퓨터는 항상 가동되어야 합니다.
24시간 가동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웹 서버가 꺼져있는 시간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개인이 웹 서버를 운영한다면, 서버 컴퓨터를 24시간 작동해야 하기에 서버를 운영하기에 어려움이 따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웹 서버를 대행해주는 업체들이 있습니다.
그 업체들을 '웹 호스팅 업체'라고 불립니다.
│호스팅이라고 하는 이유는 컴퓨터 한 대를 호스트라고 하며, 컴퓨터를 빌려주는 사업을 호스팅이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호스팅 업체들이 있는데 우리는, 그중에서 많은 프로그래머들이 사용하는 무료 업체인 GITHUB 서비스를
이용할 것입니다.
GIT HUB
GIT HUB 사이트 주소 : https://github.com/
Build software better, together
GitHub is where people build software. More than 40 million people use GitHub to discover, fork, and contribute to over 100 million projects.
github.com
사이트로 들어가서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계정을 생성한 후, 프로필을 클릭해서 저장소로 이동합니다.
깃허브에 HTML 파일을 게시하기 위한 저장소(리포지토리)를 생성합니다.
│README를 사용하여 저장소 초기화에 체크를 꼭 해줍니다.
저장소가 생성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저장소에 HTML 문서 파일들을 업로드해줘야 합니다.
'choose your files' 문장을 클릭하면 업로드할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업로드할 파일을 지정합니다.
① 웹 사이트를 구성할 HTML 문서 파일들을 업로드해줍니다.
② 수정한 파일이 있을 시 변경사항을 작성하는 곳입니다.
'커밋 변경'을 클릭해서 저장소에 문서 파일을 업로드해줍니다.
업로드한 문서 파일을 웹 서버를 통해서 호스팅 하기 위해 'Settings' 페이지에 들어갑니다.
'Settings' 페이지 하단에 Source 탭에서 'None' 메뉴를 'Master branch' 메뉴로 변경해줍니다.
변경하게 되면 사이트 주소가 위에 생기는데, 위 주소로 업로드한 문서 파일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우리가 만든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됨.
호스팅 업체들은 전부 무료인가??
그렇지 않습니다. 우리는 GITHUB 사이트를 이용해 무료로 호스팅을 진행했지만, 해당 업체의 호스팅이 무료인 이유는
HTML 언어를 사용해서 웹 사이트를 게시했기 때문입니다.
HTML 언어는 웹 브라우저가 해석하기 때문에 웹 서버에서 해줄 일이 없습니다.
이런 특성을 정적(Static)이라고 하는데요. 정적 언어로 만들어진 웹 사이트들은 무료로 호스팅 해주는 업체가 많습니다.
하지만 동적(dynamic)인 웹 사이트들은 무료보다 유료인 호스팅 업체가 대 다수이기 때문에, 이용하기 위해서
결제를 해야 합니다. 동적인 언어는 대표로 php, ruby, java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언어를 사용하기 전에는
유료로 호스팅 할 필요가 없습니다.
https://studydong.github.io/HTML-Study/
│블로그를 통해 여태 실습한 웹 사이트를 GITHUB 사이트에 게시해봤습니다.
'HTML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웹 서버(Apache) 설치 - 1] (0) | 2020.01.13 |
---|---|
[16. 웹 사이트 제작] (0) | 2020.01.08 |
[15. 링크 태그(A)] (0) | 2020.01.08 |
[14. 메타 태그(Meta)] (0) | 2020.01.07 |
[13. 웹 페이지 제목 태그(TITLE)] (0) | 202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