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사회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실업급여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을 하는 기간 동안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급여제도입니다. 실업급여 신청 조건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일 것 │피보험이란, 보험에 가입된 대상이라는 뜻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집에서 놀고먹으면 실업급여 안 줍니다. 면접 보러 다녀야 함 이직 사유가 자발적이지 않은 것 │이유 없는 자진 퇴사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2020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수급방법이 약간 바뀌었습니다. 2019년 10월 1일 이후 이직 기준으로, 120~270일 동안 지급되며 50세 미만/이상 총 2단계로 구분되어 .. 빚 보증이란? 보증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대신 채무를 갚아야 하는 의무를 지는 일을 보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의무를 주채무에 대하여 보증채무라 하고, 보증채무를 지는 사람을 '보증인'이라고 합니다. │보증채무는 채권자와 보증인 간의 보증계약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지인이 제 3자(채권자)에게 빌린 돈을 못 갚게 될 경우, 자신이 대신 갚아주겠다고 약속하는 것을 '보증을 선다'라고 합니다. 이는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아 채권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일종입니다. 보증을 꼭 서지 말아야 하는 이유 법에서 말하는 일반보증채무는 최고 검색의 항병권을 가지므로,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이 있음을 보증인이 증명만 할 수 있다면 보증인은 채무를 이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 채권자와 채무자란? 채권자 특정인(채무자)에게 일정한 빚을 받아 낼 권리를 가진 사람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집을 담보로 잡히고 대출을 통해 빚이 생기게 되면, 빚을 준 은행이 채권자이고 빚을 갚아야 될 사람이 채무자입니다. 만약 채무자가 빚을 약속한 기한 내에 갚지 않는다면 채권자는 담보로 잡은 집을 처분하여 꾸어 준 돈을 회수하고 나머지는 채무자에게 돌려줍니다. 이때 채무자는 '경매'로 집을 처분합니다. 채무자 채권자에게 빚을 진 사람을 채무자라고 합니다. 하나의 채권 전부를 여러 사람의 보증인이 각자의 행위로 보증채무 의무를 졌을 때, 이들을 공동채무자라고 합니다. 공동채무를 가진 사람 가운데 한 채무자가 빚을 모두 갚아버리면 다른 채무자의 채무는 소멸됩니다. 채권자는 공동채무자 중에서 한 사람에게만 채권의 전부 또.. 사채업자란? 사채업자 사채업을 하는 사람을 사채업자라고 부릅니다. │사채업이란, 개인이 개인에게 사사로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붙여 받는 영업을 말합니다. 고리대금이란? 고리 대금이란? 대금업자가 높은 이자율을 조건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대부 자본의 한 형태이다. │대부 자본은, 산업가나 상업 종사자에게 자본을 빌려주어 이자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하는 자본이다. (은행 자본이 대표적) │대금 업자는, 남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고리대금업자는 사채업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2020년 기준으로 대부업의 최고 이자율은 연 24%이다. 연차 휴가란? 연차 휴가란? 직장에 1년을 근무한 근로자가 근로기준법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받게 되는 유급휴가입니다. 발생 기준은? 회사에 입사를 하고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일 때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80% 미만의 출근을 했다면, 한 달 동안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개월을 개근했다면 2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1년 미만 입사자는 최대 1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다. 근무 기간이 3년 이상일 때 연차는 직장 3년 차에 1일의 유급휴가가 추가되고, 그다음 매 2년마다 1일의 유급휴가가 늘어납니다. 최대 연차 발생 휴가일수는 25일입니다. │7년 이상 근무했을 시 받게 되는 연차는 18일입니다. (입사 3년 차..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