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식/사회'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상식/사회

(6)
실업급여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을 하는 기간 동안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정부에서 지원하는 급여제도입니다. 실업급여 신청 조건 이직일 이전 18개월간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일 것 │피보험이란, 보험에 가입된 대상이라는 뜻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취업하지 못한 상태일 것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집에서 놀고먹으면 실업급여 안 줍니다. 면접 보러 다녀야 함 이직 사유가 자발적이지 않은 것 │이유 없는 자진 퇴사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 2020년 기준으로 실업급여 수급방법이 약간 바뀌었습니다. 2019년 10월 1일 이후 이직 기준으로, 120~270일 동안 지급되며 50세 미만/이상 총 2단계로 구분되어 ..
빚 보증이란? 보증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았을 때 대신 채무를 갚아야 하는 의무를 지는 일을 보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의무를 주채무에 대하여 보증채무라 하고, 보증채무를 지는 사람을 '보증인'이라고 합니다. │보증채무는 채권자와 보증인 간의 보증계약에 의하여 발생합니다. 간단히 설명하면 지인이 제 3자(채권자)에게 빌린 돈을 못 갚게 될 경우, 자신이 대신 갚아주겠다고 약속하는 것을 '보증을 선다'라고 합니다. 이는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아 채권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의 일종입니다. 보증을 꼭 서지 말아야 하는 이유 법에서 말하는 일반보증채무는 최고 검색의 항병권을 가지므로, 주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할 능력이 있음을 보증인이 증명만 할 수 있다면 보증인은 채무를 이행할 필요가 없습니다. ..
채권자와 채무자란? 채권자 특정인(채무자)에게 일정한 빚을 받아 낼 권리를 가진 사람입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 집을 담보로 잡히고 대출을 통해 빚이 생기게 되면, 빚을 준 은행이 채권자이고 빚을 갚아야 될 사람이 채무자입니다. 만약 채무자가 빚을 약속한 기한 내에 갚지 않는다면 채권자는 담보로 잡은 집을 처분하여 꾸어 준 돈을 회수하고 나머지는 채무자에게 돌려줍니다. 이때 채무자는 '경매'로 집을 처분합니다. 채무자 채권자에게 빚을 진 사람을 채무자라고 합니다. 하나의 채권 전부를 여러 사람의 보증인이 각자의 행위로 보증채무 의무를 졌을 때, 이들을 공동채무자라고 합니다. 공동채무를 가진 사람 가운데 한 채무자가 빚을 모두 갚아버리면 다른 채무자의 채무는 소멸됩니다. 채권자는 공동채무자 중에서 한 사람에게만 채권의 전부 또..
사채업자란? 사채업자 사채업을 하는 사람을 사채업자라고 부릅니다. │사채업이란, 개인이 개인에게 사사로이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붙여 받는 영업을 말합니다.
고리대금이란? 고리 대금이란? 대금업자가 높은 이자율을 조건으로 자금을 운용하는 대부 자본의 한 형태이다. │대부 자본은, 산업가나 상업 종사자에게 자본을 빌려주어 이자를 받기 위한 목적으로 운용하는 자본이다. (은행 자본이 대표적) │대금 업자는, 남에게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것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고리대금업자는 사채업자라고 생각하면 된다) 2020년 기준으로 대부업의 최고 이자율은 연 24%이다.
연차 휴가란? 연차 휴가란? 직장에 1년을 근무한 근로자가 근로기준법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받게 되는 유급휴가입니다. 발생 기준은? 회사에 입사를 하고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했다면,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일 때 근무 기간이 1년 미만이거나 80% 미만의 출근을 했다면, 한 달 동안 개근 시 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2개월을 개근했다면 2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1년 미만 입사자는 최대 11일의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다. 근무 기간이 3년 이상일 때 연차는 직장 3년 차에 1일의 유급휴가가 추가되고, 그다음 매 2년마다 1일의 유급휴가가 늘어납니다. 최대 연차 발생 휴가일수는 25일입니다. │7년 이상 근무했을 시 받게 되는 연차는 18일입니다. (입사 3년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