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동기
- 군장국가(계급 사회)
│우리나라 역사에 처음으로 나타난 국가
│부족 국가 또는 성급 국가로 부르다가 현재는 군장국가로 불리어 짐 - 벼농사
- 주거 생활
1. 배산임수를 통해 움집을 만들어 생활.
│배산임수란? 산을 등지고 앞에는 물이 있는 지리.
│신석기와 다른 점은 같은 움집이지만, 살기 좋은 지리를 이용해 터전을 만듦.
2. 지상가옥
│신석기시대의 움집은, 바닥을 파내어 그 위에 기둥을 올려 만들었지만,
청동기 시대는 지상 위에 주춧돌을 쌓고 기둥을 올려 지붕을 받치는 가옥을 짓게 된다. - 도구
1. 반달돌칼
│돌 가운데에 구멍이 두 개 뚫려있다.
이유는, 구멍에 지푸라기 같은 것을 꿰어 끈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사용했다.
벼 이삭을 벨 때 주로 사용함.
2. 민무늬토기
│무늬가 없는 토기
3. 미송리식 토기
│미송리식 토기란? 손잡이가 있는 토기 - 무덤
1. 고인돌
│청동기 시대의 계급사회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고인돌이 계급사회랑 관련 있는 이유는?
무덤을 덮는 고인돌의 뚜껑 무게가 엄청 무겁기 때문에, 한 사람의 무덤을 만들려고 여러 사람이
동원된 것을 보면 지배계층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돌널무덤 - 청동기 시대 대표 유물로는 비파형 동검, 거친 무늬 거울이 있다.
철기 시대
- 연맹 왕국
│한국 역사상 두 번째로 등장한 국가
여러 성급 국가들의 하나의 맹주국을 중심으로 연맹체를 이룬 국가이다. - 철재 농기구 등장
- 무덤
1. 독무덤
│독무덤이란? 큰 항아리 두 개를 연결해서 항아리 안에 시신을 안치한다.
2. 덧널무덤 - 도구 및 화폐
1. 세형동검
│한반도의 독자적 청동기
│청동기 후기~철기 초기 시대에 사용되었다.
2. 명도전
│명도전이란? 중국 전국시대의 화폐이다.
│중국과의 교류를 나타내는 유물이다.
사진
KEY POINT
1. 청동기 시대에 농기구는 돌로 만들었다.
2. 청동기 시대의 비파형 동검은 고조선 시대와도 연결되어있다.
3. 세형동검은 우리나라가 청동기 시절이 있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대표적 유물이다.
│일본이 한반도에는 청동기 시절이 없었다고 주장하지만, 세형동검이 나온 이후부터는 인정을 하고 입을 다뭄
'역사 >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과 위만조선 (0) | 2020.06.08 |
---|---|
선사 시대 (구석기, 신석기) (0) | 2020.06.06 |
전근대 시대와 현대 시대 (0) | 2020.06.04 |